top of page

The Preview Seoul 2025_ art fair





 더 프리뷰 서울 (The preview art fair)  

 

 booth 부스 A 12 컴바인웍스 갤러리

2025. 05. 30 (금) – 2025. 06. 01 (일)

옛 국립극단 백성희 장민호 극장

(서울 용산구 청파로 373 )






                                                                      





출품 : 조각 및 설치 , 회화 30 여 점

○ 작가 : 윤석원 (Yoon Sukone) 안토니오(Antonio) . 이현 (Huun ,Lee)

          이승연 (Seungyoun Lee)

○ 일정

┃페어기간 : 2025년 05월 30일 (금) ~ 2025년 06월 01일 (일)

┃장소 : 옛 국립극단 백성희 장민호 극장 (서울 용산구 청파로 373 )

┃관람 시간 : vip 프리뷰 : 05.29 (목) 15:00-19:00

             5,30(금) - 06.01(일) 11:00~18:00

┃문의 : 02-765-4615 / info@combine-works.com  @thepreviewartfair @combineworks

┃홈페이지 :www.combine-works.com



올해 다섯 번째를 맞이한 프리뷰 서울은 ‘변화’ ‘새로움’을 키워드로 새로운 공간인 용산 옛 국립극단 백성희 장민호 극장에서 열립니다. 옛 기무사 수송지 부대에서 2011년 시민을 위한 열린 문화공간으로 탈바꿈한 국립극단은 오래된 시간의 흔적과 분위기를 살려 공간 자체가 전시의 일부처럼 느껴집니다.

더욱 의미 있고 매력적인 장소에서 총 38개의 한국의 개성 있는 갤러리와 200 여명의 작가가 참여합니다.

컴바인웍스갤러리는 2021년 개관한 서울 북촌에 위치한 현대미술 갤러리로 국내외 작가들뿐만 아니라 프랑스, 핀란드, 브라질, 일본, 미국 아티스트들과 전시교류 및 기획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작가로 성장할 수 있는 참신한 아티스트 발굴 및 지원에 중점을 두며 국제 무대 진출을 위한 여러 플랫폼 홍보와 자체 출판업으로 아트북을 선보이며 현 미술계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제시합니다.

 

이번 더 프리뷰 서울 2025에서 컴바인웍스는 이승연, 윤석원, 안토니오, 이현 작가와 함께 고유한 시각적 언어를 제안합니다. 각기 다른 재료와 물성, 그리고 미학을 기반으로 한 네 작가의 대표작과 신작을 선보이며, 동시대 미술의 감각과 다양한 스펙트럼의 작업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2025년의 첫 번째 컬렉션, 아름다운 작품을 소장할 특별한 기회가 되시길 바랍니다.

북촌에 위치한  갤러리  컴바인웍스는  더 프리뷰 아트 서울 에 2025년 05월29일부터  06월  01일까지  참가한다







[ ARTISTS ]


  •  Antonio / 안토니오 이혁


    Antonio는 시각 예술과 인지과학, 신경미학, 철학을 결합하여 연구하는 예술가이자 연구자입니다.


    그는 감상자가 작품 감상을 통해 자아 성찰을 경험하고, 다름을 인식하며 사고의 유연성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미학적 경험을 구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 학력

2016 – 2021     캐나다 밴쿠버 |  Emily Carr University of Art + Design

                              순수미술 학사(BFA) — Accademia di Belle Arti di Brera에서 편입

  2012 – 2014    이탈리아 밀라노 |  Accademia di Belle Arti di Brera    

                              순수미술 학사(BFA) 과정 이수



•개인전 (주요)

 2024.8.마음의 산책 Mind Strolling, TDAHAUS  gallery,서울,대한민국

 2023.5.Encounters:embracingourdifferences,ArtsCouncilofSurrey,서리,캐나다

 2022.7. 조우:다름을 포용하다,Hotel Andaz,서울,대한민국

 2021.12. 조우:다름을 포용하다,Lamer Gallery,서울,대한민국

 2021.8. Encounters:embracingourdifferences,HeadlineGallery,밴쿠버,캐나다

 2020.2. 인간의 본성 HumanNature,Lamer Gallery,서울,대한민국

 2018.7. DesignedWar,CityartGallery,밀라노,이탈리아

 2017.7. Peace.Nomorewar, SilkGallery,포트무디,캐나다

 2014.8. 폭발,Gallery MOA,헤이리,대한민국


단체전  (주요)

2021.6. ART2021,SurreyArtGallery,써리,캐나다

2013.10.NationalStudents’ArtContestBARI Italy,UniversityofBari,바리,이탈리아

2013.3.AssociazioneArteCulturaeSport,ProvincialCongressMilan,밀라노,이탈리아 그외 다수 아트페어/비엔날레

 2023.3.BAMABUSAN23,부산,대한민국

 2017.11. Romart2017,로마 그 외 다수



• 수상 (주요)

2021.6.ART2021,SurreyArtGallery,캐나다

2017.12.INTERNATIONALARTCOMPETITION“Patterns”,LightSpace&    Time, 미국                        

2014.6.ARTAWARDOFGRIFFIN2014,이탈리아

2013.10.NationalStudentsArtContestBARI Italy2013 ,이탈리아















Antonio Lee 는 시.지각과 감정의 상호작용을 탐구하는 리서치 기반 작가다. 신경 미학의 관점에서 감각 자극과 자아 성찰 사이의 연결을 시각적으로 구성하며,시선의 흐름과 정서적 움직임을 유도하는 섬세한 조형 언어를 구축한다.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공부한 후 캐나다로 이주한 그는 다양한 문화가 어우러진 환경에서 예술적 시야를 넓혔다. 최근 몇 년 동안 그는 자신만의 독특한 예술적 정체성을 바탕으로 인지 과학과 신경 미학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Antonio의 작품은 특정한 메시지를 강요하지 않으며, 감상자가 스스로 다름을 마주하고 사고방식을 확장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다.미적 경험을 넘어, 철학자처럼 사유하는 주체로 .. 더 나아가 자아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연구하는 안토니오 작가.

그의 작품들은 감각적 몰입을 통해 관람자 스스로 내면을 응시할 수 있는 공간을 창출한다

 















이승연 Seungyoun,Lee  (b.1982-)


2013 Central Saint Martins College of Art (센트럴 세인트 마틴) Narrative Environment 석사 졸업, 런던, 영국

 

2013-2017아티스트 듀오

이승연(한국), 알렉산더 어거스투스(영국)인으로 구성된 아티스트 듀오 ‘더 바이트백 무브먼트’로도 활동

 

개인전

2023년 ‘이방인의 해와 달’, 컴바인 웍스 갤러리, 서울

2021년 ‘재난의 시대, 몽상 판타지아’, 광주 미디어 338 미디어 아트 플랫폼, 광주문화재단, 광주

2020년 ‘유리병 바다, 가오슝’ , 가오슝 피어 투 피어 아트센터,(Pier-2 -Pier Art Center) 가오슝, 대만

2020년 ‘신세계환상곡’ , 수림아트센터, 서울, 대한민국

2018년 ‘선의 환상’, 서울시립미술관 분관 세마창고, 서울, 대한민국

2018년 ‘안녕 창백한 푸른점’, 수유너머 104 소네마리 갤러리, 서울, 대한민국

2015년 ‘OH MY GODS: 2100년 무당, 천사 그리고 스토리텔러’, 성북동 오래된 집, 캔 파운데이션, 서울

2014년 ‘OH MY GODS:2100년 당신의 믿음’ 문화역 284, 서울 (‘더 바이트백 무브먼트’로 참여)

2014년 ‘OH MY GODS:2100년 당신의 믿음’ 영은미술관, 서울(‘더 바이트백 무브먼트’로 참여)

2013년 ‘A Dangerous Figure’ 섬머셋 하우스,(Somerset House) 런던, (‘더 바이트백 무브먼트’로 참여)

 

주요 단체전 (Selected)

2025 ‘우리를 바꾸는 다섯가지 대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24 자신을 섬으로 하여, 봉은사, 서울

2024 ‘다섯 발자국 숲’ , 과천 국립현대미술관 어린이 미술관, 과천

2024 ‘송신’ 수림큐브, 서울

2024 WWW 컴바인웍스 갤러리, 서울

2023 ‘요괴백과도’ 이천 시립 월전미술관, 이천

2023 ‘구름 속 바다’ 파리 도향리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23 ‘물결에서 함께 턴’, 포항 귀비도, 포항문화재단, 포항

2023 ‘아티언스’, 대전예술가의 집, 대전, 한국

2023 ‘구름 속 바다’, 도향리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22 ‘생생화화: 사이의 언어’ 김홍도 미술관, 안산, 한국

2022 수림문화재단 수림큐브 개관전 ‘수림 소장품전 Page one’, 수림큐브, 서울

2021 서울대공원 야외 큐레이팅 전시 ‘모두의 동물원:야생동물과 반려동물 사이’, 서울대공원. 과천, 한국

2021 창원국제조각비엔날레 프리뷰전, ‘채널: 입자가 파동이 되는 순간’  성산아트홀, 창원, 한국

2021 ‘팔팔한 도시 여행’, 고양 아람누리 미술관, 고양, 한국

2021 ‘현대미술의 시선전’, 양평군립미술관, 양평, 한국

2020 ‘수상하고 이상한 기당 원더랜드’, 기당미술관, 제주, 한국

2020 서울평화문화축제, ‘도봉산 명랑운동회’ 평화문화진지, 서울

2019 ‘산려소요’ 세종문화회관 야외큐레이팅, 서울

2019 서울로 미디어 캔버스 ‘네이처’ , 만리동 우리은행 건물, 서울

2018 울산 태화강 국제 설치 미술제 ‘잠시 신이었던 것들’ 울산, 한국

2018 SeMa예술가 길드 ‘만랩’ 남서울 미술관, 서울, 대한민국

2017 SeMa 예술가 길드 ‘표본창고’ 서울시립미술관 세마창고, 서울, 대한민국

2016  ‘La Nuit De L’Instant’, Les Ateliers de l'Image, Centre Photographique de Marseille, 프랑스                    

2016  ‘예술가가 노동을 대하는 자세’ 인천아트플랫폼 협업 프로젝트. 인천아트플랫폼 B1갤러리,

2016  ‘비일상의 발견’, 전주 팔복예술공장 아카이빙 프로젝트, 전주, 대한민국,                                   

2015  ‘플라스틱 신화’ 국립 광주 아시아 문화 전당 개관전, 광주, 대한민국.                                        

2015  ‘OH MY GOD: 2100 년 샤먼 그리고 도깨비 바람’.(현대무용가와 협업), 문화역 서울 284 , 한국      

2014 ‘A Hidden Face’, 한국에 온 이주민 사절단, 안산 아시아 예술축전, 리트머스, 안산

2014 ‘TRANSMUTE’ 브라이튼 디지털 아트 페스티벌, 브라이튼, 영국

2013 ‘Dr Gentle and Mr Man’ Hoxton Arch  런던, 영국

2012. ‘Musical Torch’, King’s Place, 런던, 영국

 

 •공공미술 프로젝트

2021서울대공원 야외 큐레이팅

2021 Jump into the Sky, 광주문화재단 빛고을 시민회관 옥상, 광주

2020 서울평화문화축제, 평화문화진지(11미터 가량의 ‘도봉산 명랑운동회’ 그래피티 벽화 설치)

2019 세종문화회관 야외 큐레이팅

2018 필동 예술동 축제 ‘뱀신’설치

2017 ‘떠나간 새와 남은 새’ 베를린 ZK/U 건물 지붕, 베를린, 독일

2016 ‘어처구니: 다시 태어난 11신’ 인천아트플랫폼 지붕

 

수상 및 기금

2025 서울문화재단 예술활동창작지원 선정

2025 ‘황금곰팡이’ 볼로냐 라가치상 어메이징 북셀프 지속가능성 부문 선정

2025 아트경기 선정작가

2024 문화예술위원회 해외레지던시 기금

2022  경기문화재단 생생화화 예술창작지원 기금

2021 문화예술위원회 국제교류기금

2021 경기문화재단 아트경기 선정작가

2020 수림문화재단 시각예술지원 수림아트랩 선정

2019 한국출판산업진흥회 ‘루시와 다이아몬드’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2018 서울시립미술관 공간지원 사업 전시지원 선정

2017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해외레지던시 기금

2016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교류 기금 

201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해외레지던시 기금

 

레지던시

2024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에이스피랄 레지던시

2023 파리 이응노 레지던시

2020 대만 가오슝 피어 투 피어 아트센터                                                                     

2019 루마니아 브라쇼브 현대미술 레지던시                                                                  

2018 독일 쉐핑헨 쿤스트 돌프 레지던시                                                                         

2017 독일 베를린 zk/u 레지던시                                                                             

2016 인천아트플랫폼 레지던시 

2016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시

2015 테미예술창작센터 

 

출판

2024 다섯발자국 숲, 황금곰팡이 그림책 단행본 출간, 국립현대미술관 출판( 국립현대미술관이 제작지원한 최초의 창작 그림책)

2019 루시와 다이아몬드 사이언스 픽션 그림책 출간, 나는책 출판사 (한국출판문화진흥원 우수출판콘텐츠 선정)

 

소장

수림문화재단,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광주아시아문화전당(ACC), 청주시문화산업진흥재단, 영은미술관, 인천아트플랫폼, 캔 파운데이션, 서울대공원, 루마니아 브라쇼브 레두타 센터 (Braşov Reduta Cente), 독일 쉐핑헨 타운홀(Schöppingen Town Hall), 베를린ZK/U, 외 개인소장

 

 


이승연 은 이야기의 힘을 믿는 예술가. 미래의 ‘채색 필사가’나 ‘주술사’ 또는 스토리텔러이다. 다양한 재료로 그림을 그리고 드로잉, 설치, 영상, 그림책 등 여러 매체를 활용해 작품을 만든다. 구석기 시대의 동굴벽화처럼 영원히 남을 작업을 꿈꾸며 고대사와 신화, 또는 상상의 극한을 보여 주는 기이하고 신기한 이야기,여행을 통해 발견 수집해 변형한다.  작가는 2012~ 2017년 영국인 알렉산더와 더 바이트 백 무브먼트 아티스트 듀오로 활동, 광주 아시아문화전당(ACC), 문화역 서울 284, 김홍도 미술관, 서울시립 미술관, 남서울미술관, 고양아람누리미술관, 수림문화재단, 광주문화재단 미디어338, 평화문화진지, 세종문화회관, 울산 태화강, 베를린 ZK/U, 루마니아 REDUTA 아트센터, 대만 가오슝 Pier 2 Pier아트센터 등 국내외 여러 미술관, 기관, 단체에서  개인전 및 단체전을 가졌다

Seungyoun Lee is an artist who believes in the power of storytelling. A future "coloring scribe," "sorcerer,"

or storyteller, she works across a range of media—including painting, drawing, installation, video, and picture books.

Like Paleolithic cave paintings that have endured through the ages, her art aspires to timelessness. Drawing inspiration from

 ancient history, mythology, and the extremes of imagination, she collects, transforms, and reimagines the curious and wondrous

tales she encounters through travel.


From 2012 to 2017, she collaborated with British artist Alexander as the duo behind The Bite Back Movement.

 Her work has been presented in solo and group exhibitions at numerous institutions, both in Korea and abroad,

 including: the Asia Culture Center (ACC) in Gwangju, Culture Station Seoul 284, the Kim Hong-do Museum,

the Seoul Museum of Art, Nam-Seoul Museum of Art, Goyang Aramnuri Arts Center, the Surim Cultural Foundation,

 Gwangju Media 338, the Peace Culture Bunker,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Taehwagang in Ulsan,

ZK/U in Berlin, the REDUTA Art Center in Romania, and the Pier-2 Art Center in Kaohsiung, Taiwan.




윤석원 Yoon Sukone  (b.1983- )


2012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현대미술전공 서울

2009 건국대학교 커뮤니케이션디자인전공 서울


개인전 (주요)

2025 빛과 물질-프리퀄, 대림창고, 서울

2024 화면조정-무지개, 컴바인웍스, 서울

2022 사람과 사람들, 스페이스로, 서울

2022 Drawing experiments, 매홀 창작스튜디오, 수원

2020 차경, 갤러리 바톤, 서울

2018 살아가는 것들, 리서치 앤 아트, KAIST경영대학

Run Silent, Run Deep, 챕터투, 서울

2016 만난 적 없는 것들, 갤러리 바톤, 서울

2014 자라나는 것들,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청주 그 외 다수

2 인전

2023 어저께의 나머지에 오늘을 붙여(윤석원, 박현성), 지우헌, 서울

2022 Various Auras (윤석원,이윤희), 이목화랑, 서울

2014 SURFACE(윤석원, 배민영), 갤러리 바톤, 서울

주요 단체전 (Selected)

2025 WINTER MASTERPIECES, 선화랑, 서울

도로시 10 주년 기념전•그림을찾아가는시간圖路時,도로시 살롱, 서울

옥토 OCTO-, 페이지룸 8/ 지우헌, 서울

2024 식물의 변주, 도로시 살롱, 서울

응축에 관한 기억, 갤러리호튼, 서울

퍼블릭 아트뉴히어로, K&L 뮤지엄, 과천

생태적 캔버스, 고색 뉴지엄, 수원

2024 MIMESIS AP COLLECTION : FACE ,미메시스 아트뮤지엄, 파주

2023 MIMESIS COLLECTION: 색色, 감感-減, 미메시스 아트뮤지엄, 파주

자연을 위한, 자연에 대한 서사, 청주시립대청호미술관, 청주

미메시스 아티스트프로젝트6: SIGN, 미메시스  뮤지엄, 파주

WINTER MASTERPIECES, 선 화랑, 서울

2022사유의 방법:2020-2021신 소장품 전, 청주시립미술관, 청주 그 외 다수


수상(주요)

2021 퍼블릭아트 뉴 히어로 선정

2021 동탄아트페이스 신진작가공모 선정, 화성

2021 제 6회 서리풀 Art For Art 대상전 특선, 서울

2017 남도문화재단청년작가 미술공모 선정, 광주 그 외 다수

레지던시

2021-22 매홀창작스튜디오 입주작가, 수원

2016-17 챕터투 레지던시, 서울

2015-16 경기창작센터 입주작가, 안산

2013-14 청주미술창작스튜디오 입

소 장

국립현대미술관, 청주시립미술관, 단원미술관,

Tiroche DeLeon Collection, 이스라엘

KAIST 경영대학원,  챕터투, (주)코오롱

제이슨함,   미메시스 아트뮤지엄,  (주)한국삼공


윤석원 은 생성과 소멸이라는 큰 주제 안에서 평소 기록하고 수집한 사진 자료를 기반으로 작업한다. 어떤 장면이나 순간에 관한 인상에 자신의 기억과 감정의 동요를 더해 캔버스에 옮긴다. 직〮간접 구분없이 자기 경험에 기억과 감정이라는 주관적 요소를 더해, 빛과 어둠이 만들어내는 잔상과 보이지 않는 공기의 움직임을 섬세한 색과 형태의 변화로 생명력 있게 그려낸다. 수직/ 수평의 방향성을 갖는 붓질을 이용해 화면에 조형적 균형과 긴장감 만들어 내며 수평과 수직이 갖는 시각적 함의를 통해 삶과 죽음, 생성과 소멸 같은 상반되는 의미들을 한 화면 안에 담아낸다.






Sukone Yoon (b. 1983, South Korea) Studied Communication Design at Konkuk University and completed a master's degree in Contemporary Art at the same institution.

Yoon creates works under the overarching theme of creation and extinction, using collections of photographic images that he has captured and amassed as a basis. The artist transfers his impressions of scenes or moments onto canvas, incorporating his memories and emotional stirrings. Whether direct or indirect, he infuses his experiences with the elements of memory and emotion, thereby capturing vividly the afterimages of light and darkness as well as the movements of the unseen atmosphere through delicate shifts in colors and shapes. Yoon conveys opposite yet indivisible meanings like life and death, or creation and extinction, with his vertical and horizontal brushstrokes and generates visual balance and tension on his canvas by interlacing the implicated meanings embedded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s of his imagery.

Yoon has held numerous solo exhibitions at venues such as Gallery Baton, Cheongju Art Studio, Wumin Art Center, and Chapter II, as well as participating in group exhibitions at galleries including Mimesis Art Museum, Seongnam Cube Art Museum, Cheongju Museum of Art, Kimhongdo Art Museum, and Shin Museum.

He was selected for the Public Art's New Hero Program (2021) and the 37th Joongang Fine Art Prize (2015), and received the Danwon Art Prize at the 18th Danwon Art Festival (2016). With his ascending career garnering considerable attention, Yoon's works have become part of the collection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Cheongju Museum of Art, Kimhongdo Art Museum, Hankook Samgong, the Tiroche DeLeon Collection (Israel), KAIST Graduate School of Business, Space K, and Chapter II, Mimesis Art Museum.







.

이 현  Hyun  Lee  (b.1988- )


2014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석사 졸업

2011 건국대학교 조형예술학부 회화과 졸업


개인전

2023 펼쳐진 숨 [Unfolded Breath], 컴바인웍스 갤러리 기획전, 서울

2022 익숙한 것에 대한 고찰, keep in touch Seoul, 서울,

       ( 강원문화재단 생애 최초지원선정작가 )

2022 아주 사적인 날씨 , 온수공간, 서울

2019 Going home ; 집으로 가는 길, 갤러리 도스, 서울

       (2019년 하반기 갤러리 도스 기획공모 릴레이 프로젝트 ‘보통의 예술’展 )

2017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집 展 , 갤러리 이즈 , 서울


단체전

2024 Terraforming 2인 기획전, HIPPIE HANNAM gallery, 서울

2024 Under 200, 아트 소향, 부산

2023 WWW(Woks Words Worlds). Mind Mapping,

       컴바인웍스 갤러리 기획전 , 서울

2023 예술로 떠나는 여름여행 2부 , 구띠 갤러리 기획전, 서울 

2022 모호하게 교차하는 시선과 응시 기획전, 큐아트스페이스

2015 진동 2인 展 , 복합문화 공간 에 무, 서울

2013 JW중외제약 공모 특선, 공 갤러리, 서울

2014 시대정신과 동양 회화의 표현 의식 展 2부,한원 미술관, 서울

2014 6인의 릴레이 개인전 공평 갤러리, 서울


수상/지원금 

2022 강원문화재단 생애 최초지원선정작가
















































Comments


내부이미지-03.jpg
Contact us

Feel free to

Thanks for submitting!

Address

4F 401,128 Gyedong-gil,jongno-gu ,Seoul,Republic of Korea  (03057)
TEL : +82 2 765 4615 

E-mail : Info@combine-works.com

Opening hours

Tue to Sat :11 :30am–18:00 pm
Closed on Sun& Mondays

 

bottom of page